👷♂️CSMA/CD란? -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을 줄여서 부르는 방식!
1. 통신하고 싶은 PC나 서버는 먼저 지금 네트워크상에 통신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네트워크 자원을 쓰고있는 PC나 서버가 있는지 확인해보는 것) => 캐리어(네트워크상에 나타나는 신호라고 생각하면된다)가 있는지를 감지하는 것! (Carrier Sense) 2. 만약 캐리어가 감지되면, 다시 말해서 누군가가 네트워크상에서 통신을 하고 있으면 자기가 보낼 정보가 있어도 못보내고 기다린다! 3.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없어지면 자기 데이터를 네트워크상에 실어서 보낸다!
🛑잠깐!🛑 2개 이상의 PC나 서버가 동시에 네트워크상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경우를 바로 Muliple Access (다중 접근) 이라고 한다! 이렇게 2개의 장비들이 데이터를 동시에 보내려다 부딪치는 경우를 충돌(Collsion)이 발생 했다고 한다!
4. 충돌이 발생하게 되면 데이터를 전송했던 PC들은 랜덤한 시간동안 기다린 후 다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랜덤한 시간이란, 우리가 느끼지 못할 만큼 아쥬작은 시간이다!)
✅ 맥 어드레스 (MAC Address)
우리가 편지를 서로 주고 받기 위해서 각각의 건물이나 집에 서로 다른 주소가 필요한 것 처럼 이런 집 주소 역할을 하는 것이 MAC 주소이다!
인터넷은 TCP/IP로 통신을 하고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IP 주소를 사용한다! => 이런 경우도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우리가 IP 주소를 사용하니까 IP 주소만 있으면 모든 통신이 일어날 것 같지만, 사실은 IP 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를 밟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ARP라고 한다!
⭐Network에서 MAX 주소는 Physical 주소, IP주소나 IPX 주소는 Logical 주소라고 한다!
https://xyom.github.io/2018/01/08/ARP%E1%84%85%E1%85%A1%E1%86%AB/
✅유니 캐스트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을 가지고 통신하는 방식!
유니 캐스트 통신 방식은 그 목적지 주소가 아닌 다른 PC들의 CPU 성능을 저하시키지는 않는다!
자신의 맥 어드레스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랜카드가 이 프레임을 버린다!
✅브로드 캐스트
로컬 랜에 붙어 있는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게 보내는 통신!
브로드 캐스트는 통신의 대상이 특정한 어떤 네트워크 장비가 아니고 내가 살고 있는 네트워크 안의 모든 네트워크 장비들에 통신할 때 쓰기 위한 방식이다!
브로드 캐스트는 네트워크상의 전체 노드로 전송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트래픽이 증가한다!
하지만 이 패킷을 받은 모든 랜카드가 이 패킷을 CPU로 전송하기 때문에 CPU는 하던 일을 멈추고 해당 전송된 데이터 관련한 일을 해야한다!
이에 따라 전체 PC의 성능도 떨어지게 된다!
브로드 캐스트는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한다거나 다른 라우터를 찾을 때, 또 서버들이 자신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모든 클라이언트들에게 알릴 때 등 여러 경우에 사용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