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도 힘내자!
오늘의 공부 내용
내 답변은 혼자 계속 다듬어 가면서 고치고 고치고 고치다가 정리된 답변입니다... 처음부터 절때 저렇게 정리하지 않았습니다...!
- 세션을 사용할 때 서버 측에서 어떤 방식으로 클라이언트를 식별하나요?
- 일반적으로 세션 ID는 쿠키에 저장됩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로 요청을 보낼 때 이 쿠키를 함께 전송하여 세션을 유지합니다.
- 세션을 언제 생성하고 관리하는지 설명해 주세요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처음 접속하면 서버는 새로운 세션을 생성하고 고유한 세션 ID를 발급합니다. 서버는 세션 정보를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소에 저장합니다.
- 디스패처 서블릿이 무엇인가요?
- 클라이언트 요청을 적절한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응답을 생성하여 반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요청을 디스패처 서블릿이 핸들러 매핑을 통해 해당 요청에 맞는 컨트롤러를 찾고 그에대한 결과값을 클라이언트로 보냅니다.
- 서블릿 컨테이너의 역할 설명하시오.
- 서블릿 컨테이너는 서블릿을 관리하고 실행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서블릿의 생명주기 관리나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등의 역할이 있습니다.
- 서블릿이 무엇인가?
- 서블릿은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이고, 클라이언트 요청에 응답하고 HTTP 요청을 처리하여 HTML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 MVC1과 MVC2 패턴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왜 MVC2 패턴이 더 선호되는가요?
- MVC2에서는 서블릿이 컨트롤러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조적으로 명확하게 분리가 되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이 더 좋습니다.
- 필터와 인터셉터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 위치적으로 먼저 차이가 있습니다 Filter는 DispatcherServlet으로 들어오기 전에 있고 Interceptor는 그 후에 있습니다. Filter는 HTTP 요청/ 응답을 다루고 필터는 서블릿컨테이너에서 동작하여 프레임워크에 종속되지 않지만 Interceptor는 컨트롤러 요청 처리 전후 작업에 적합하고 Spring MVC에 대한 종속성이 있습니다.
- 필터와 인터셉터를 함께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은 무엇인가요?
- 실행 순서이해와 역할에대해 중복이 될수있음을 주의해야합니다. 필터는 서블릿 컨테이너 수준에서 동작하기때문에, Interceptor 보나 먼저 요청이 들어옵니다. 따라서 필터에서 먼저 데이터의 변경이 이루어져야합니다. 필터는 HTTP 요청/응답 처리에 적합하고 인터셉터는 비즈니스 로직과 관련된 작업에 적합 합니다. 추가로 필터에서 예외가 발생하면 필터 단계에서 응답이 종료되기 때문에 인터셉터는 호출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에러 처리 순서도 고려를 해야합니다.
공부한 후 느낀점
이해는 했어 했는데 기억을 할 수 있을까
뭐 어째 일단 반복하면서 기억해야지
그래도 어제보다 아는게 더 늘어서 기쁘다
내일도 또 공부해야지
반응형
'Study > Study Alo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혼자공부] 6주차 복습-2 (0) | 2025.01.09 |
---|---|
[나혼자공부] 6주차 복습-1 (0) | 2025.01.08 |
[나혼자공부] 5주차 복습-1 (2) | 2025.01.03 |
[나혼자공부] 4주차 복습-2 (0) | 2024.12.26 |
[나혼자공부] 4주차 복습-1 (2) | 2024.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