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회사에서 기술 조사 하다가! 정리한거! 졸립다! 언능 하고 자야징!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기본개념
- 2개 이상의 디스크를 병렬로 처리하여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방식
- 레이드는 Striping(분산), Mirroring(중복), Parity(무결성)의 기술을 적용에 따라 레벨이 나누어진다.
사용 목적
- 여러개의 디스크 모듈을 하나의 대용량 디스크 처럼 사용하기 위하여
- 여러개의 디스크 모듈에 데이터를 나누어 한꺼번에 쓰고 한꺼번에 읽는식으로 입출력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 여러개의 디스크를 모아서 하나의 디스크로 만들고 그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디스크에 장애가 나더라도 최소한 데이터가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대 효과
- 대용량의 단일 볼륨을 사용하는 효과
- 디스크 I/O 병렬화로 인한 성능 향상
- 데이터 복제로 인한 안정성 향상
Raid 종류
1. 레이드 0
- 두개 이상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방식
- 장점: 한 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처리하는게 아니라 복수개의 디스크에 데이터를 분산해 처리하기 때문에 읽기, 기입 처리 속도가 빠르다.
- 단점: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발생하면 레이드 0으로 구성된 모든 데이터가 유실된다.
2. 레이드 1
- 데이터를 중복 기록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장애 및 오류 발생 시, 다른 디스크를 통해 데이터를 쉽게 복구할 수 있다.
- 장점: 가용성 및 안정성이 높다.
- 단점
- 똑같은 데이터를 디스크 2개로 중복 처리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단점이 있다.
- 저장할때는 속도가 느려지기도 한다.
3. 레이드 1+0
- Mirroring 후 Striping으로 구성되어있다.
- 최소 4개이상의 저장 장치가 필요 / 용량은 (디스크 수 /2) X 디스크 용량
- 장점
- Mirroring 으로 똑같은 디스크 복사본 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했을 때도 완벽한 복구가 가능하다.
- 한 디스크에서 장애가 발생할 경우, 데이터 무결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모든 데이터를 다른 미러에서 제공할 수 있고 고장난 드라이브만 교체하면 된다.
- 단점
- 전체 용량의 50%만 사용 가능하다.
- Raid 1+0(Raid10) 의 경우, 이미 Mirroring 후 Striping을 진행하므로 미러링으로 묶인 하드를 통하여 손실된 데이터만 복원이 가능
이곳 저곳 너무 많이 참고해서 출처를 저장하지 못하였습니다 ㅠㅠ
구글에 "raid란" 이라고 검색해서 나오는 모든 블로그를 참고하였습니다! 잘 정리해주셔서 공부할수있었습니다!
사랑해요!
반응형
'public void static main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동기와 논블로킹 (0) | 2025.01.23 |
---|---|
[HTTP] Stateless/Stateful 뭘 사용해야 할까? (0) | 2025.01.07 |
[WEB] 동기 & 비동기 (0) | 2022.10.14 |
[OS] 프로그램과 프로세스 (0) | 2022.02.21 |
[Design Pattern] Strategy Pattern (0) | 2022.02.05 |
댓글